3. 활성슬러지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미생물의 특징
4) 해체시 또는 해체의 기미가 보일 때의 미생물
해체의 정도에 따라 floc에 전혀 압밀성이 없는 것부터 부분적으로 압밀성이 없는것까지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공통적인 것은 floc과 floc간에 pin floc이 많은 것이며 이런 경우 활성슬러지가 곧 해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음에 해체시 또는 해체의 기미가 보일 때 출현하는 미생물을 정리해 보았다.
① 대형, 중형 Amoeba 50μ 이상의 Amoeba를 중·대형 Amoeba라 한다. 해체시에 Amoeba는 급증하며 floc의 압밀성이 없어지게 floc을 자극하여 floc을 흩어지게 한다. Amoeba는 floc 주위에서 기어다니며 세균뿐만 아니라 원생동물도 섭취한다. 중·대형 Amoeba의 출현환경은 부하가 적고 용존산소가 충분하여 floc에 압밀성이 없을 때 압도적으로 많다. Amoeba가 다량 출현할 때 처리수가 양호할 때도 있으나 그대로 운전 을 하게 되면 pin floc이 많게 된다. 해체시 소형 Amoeba와 라티오자 Valkanfia limax가 관찰되는 일이 많다.
|
 |
|
 |
|
|
Amoeba(1) |
|
Amoeba(2) |
|
② Peranema 식물성 편모충류에 속하므로 동물성 편모충류와는 출현 조건이 다르다. 충체는 시린다 모양이나 꼬리부분이 평평하게 절단된 것이 특징이고, 큰 편모를 갖고 보통 부유할 때는 회전하지 않는다. 세포의 크기는 20∼70μ이며, Peranema는 세균류, 조류, 원생동물은 폭넓게 포식한다. 출현환경은 부하가 낮고 용존산소가 높을 때부터 오니가 흩어질 때까지 관찰되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

|
Peranema(1) |
Peranema(2) |
③ Rotaria 머리부분의 섬모가 운동하여 움직인다. Rotaria의 특징은 발가락이 3개 눈앞에 돌기가 나와 있다. 충체의 크기는 500∼300μ이며, 섭취방법은 Vorticella 등의 녹모목과 같고 다리부분을 floc에 흡착해서 머리의 섬모모양의 고리로 물결을 일으켜 부유하는 세균과 미소원생동물(微小原生動物)을 흡입한다. 출현환경은 부하가 낮고 오니가 해체를 시작할 때 나타나며 용존산소가 충분할 때 나타나는 폭기조 에서 질산화가 일어나 pH 4로 되어도 관찰된다.

|

|
Rotaria(1) |
Rotaria(2) |
③ Oxytricha 충체는 타원형으로 Aspidisca와 Euplotes와 비교해서 유연성이 있다. 개구부는 Euplotes와 같은 모양이고 전단부에 있다. 세포의 크기는 100∼150μ이며, Oxytricha는 유기물이 양호하게 산화된 환경에 많이 출현한다. 그러나 용존산소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 관찰된다.

|

|
Oxytricha(1) |
Oxytricha(2) |
④ Philodina Rotifer의 일종으로 Philodina의 특징은 발가락이 4개가 있고 머리에 눈알이 있다. 충체의 크기는 300∼1000μ이며, Philodina의 출현환경은 보통 유입유기물이 완전히 산화되고 큰 floc이 남아 있을 때 많다.

|

|
Philodina(1) |
Philodina(2) |
⑤ Spirostomum 충체는 긴 시린다 모양으로 1∼3㎜이고 원생동물 중에서 가장 크다. 거의 수평으로(일직선) 뒤쪽에 특징이 있는 수축포가 있다. Spirostomum의 출현은 부하가 설계 수량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낮고 용존산소가 높은 처리장에서 질산화가 일어날 때 많다. 따라서 처리수의 투시도는 양호하다. Spirostomum이 나타날때는 Epistylis, Aspidisca, 대형 Amoeba, Entosiphon, Paranema, Rotaria 등이 동시에 관찰된다.

|

|
Philodina(1) |
Philodina(2) |
⑥ Stentor 꼬리부분은 좁고 섬모는 개구부를 포함해서 몸전체가 나사모양이다. 몸길이는 1∼2㎜이며, 출현환경은 용존 산소가 높을 때 한하며 그때는 부하가 낮고 처리수가 양호할 때 많이 나타나며, 이 식물의 섭취방법은 Vorticella등의 녹모목과 유사하며 나사모양의 개구부 섬모에 의해 물결을 일으켜 분산상의 세균류를 섭취한다.

|

|
Philodina(1) |
Philodina(2) |
⑥ Coleps 충체는 규칙적인 반투명의 판 모양이고 뒤쪽에 여러개의 침같은 털이 있다. 입은 앞쪽에 있고 여럿의 섬모가 있다. 오래된 것은 농갈색이나 처음 분열된 것은 몸체의 반 정도가 엷은 갈색이다. 세포의 크기는 40∼65μ 이며, 출현환경은 폭기조내에 유기물이 적고 용존산소가 충분할 때가 많다. Coleps 가 출현할 때는 처리수가 양호할 때 많다.

|

|
Coleps(1) |
Coleps(2) |
⑦ Blepharisma 몸은 가늘고 길며 몸길이의 반이 개구부이다. 세포입의 좌측에는 섬모가 없고 우측에는 큰 막을 갖는다. 충체의 크기는 100~200μ 이며 몸색깔은 핑크색, 장미색 등을 띈다. 강한 빛 아래에서 증식하며 어떤 종류의 화학약품과 접촉하면 무색이 되기도 한다. 출현환경은 폭기조중의 유기물이 양호하게 산화 되었을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

|
Blepharisma(1) |
Blepharisma(2) |
⑧ Arcella 입의 구멍이 중앙에 있다. 운동시와 섭취시는 봉상의 다리를 내어놓는다. Arcella는 개체가 젊을때는 엷은 갈색이나 오래되면 농갈색이 된다. 충체의 크기는 30∼250μ이다. 출현환경은 처리수가 양호할 때가 많고 폭기조에서는 질산화가 일어나 pH는 산성일 경우 가 대부분이다. 즉 SRT가 길 때 관찰된다. 또 용존산소가 낮아도 출현하지만 그래도 처리수 가 양호할 때가 많다. 그러나 용존산소가 갑자기 낮아지거나 다른 조건이 급격히 변화하면 충체는 몸이 깨어지거나 검게 된다. Arcella의 급격한 증식은 과잉 폭기 후 많이 나타난다.

|

|
Arcella(1) |
Arcella(2) |
⑨ Centropyxis 표면에 모래모양의 규산질 조각을 붙이고 구형인 것이 Difflugia와 유사하다. 표면에 2∼10개의 돌기가 있다. 입은 중앙에서 표면의 측면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충체의 크기는 120∼150μ이며, 충체가 운동할때와 섭취할 때는 막대기 모양의 다리를 내어 놓는다. 출현환경은 Arcella와 유사하고 처리수가 양호할 때가 많다. 또한 Arcella와 같이 SRT가 길때 나타난다.

|

|
Centropyxis(1) |
Centropyxis(2) |
⑩ Difflugia 껍질표면에 다른 물질이 부착해서 형태는 병모양이 많다. 막대기 모양의 다리가 있으며 충체의 크기는 60∼250μ이며, Difflugia는 산업폐수 계통에서 잘 나타난다. 하수에 출현하는 경우는 유입수 농도가 극히 낮고 폭기조에 용존산소가 충분하여 질산화가 일어나 pH가 산성에 있는 경우가 많다. pH 4까지 관찰된다.

|

|
Difflugia (D. globulosa) |
Difflugia (D. lobostom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