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 태 크 ◈/성공습관 :

성공을 성취하려면 습관을 정복하라 1장

Positive51 2006. 9. 27. 22:36

제1장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한다.

 

1.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습관
 「지금이 그 때, 그 때가 지금」 그 때란 바로 중요한 때.
 「찬스의 신」은 앞머리만 있을 뿐 뒷머리는 맨들맨들한 대머리라 한다.
  그러나 우리들은 그 앞머리를 붙잡지 못하고 놓친 채 언제나 그 뒷머리만 아쉬운

  눈초리로 바라보고 있다.


2. 하고자 하는것을 그 자리에서 실행하는 습관
-「하나에서 열까지 이 정도면 완벽하다는 시점에서 시작하려면 언제까지 아무 일도 할 수 없다.」
- 성공하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차이는 '행동력'의 차.
  적극적인 자,  소극적인 자.
- 적극적인 자는 「그 자리에서 일을 처리」하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다.
  그리고 그것의 부산물로서 「신뢰」와 「자신감」을 얻게 된다.
- 변명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다면 순수하게 들어주어라.
  그러나 자기 자신에게만은 결단코 나약한 변명을 하지 말라.
  즉, 「자신에게는 엄격하게, 그러나 타인에게는 따뜻하게」대하라.
- 적극적인 사람과 소극적인 사람의 차이는 모든 행동에서 나타난다.
  적극적인 사람은 「그 자리에서 처리」하는 것을 습관화하고 있다.
  그러나 소극적인 사람은 뭔가 변명할 구실만 찾는다.
-「남의 변명을 들어 주어라」그러나 「자신에게는 변명하지 말라」
  이것은 「자신에게는 엄격하되 타인에게는 따뜻하게」라는 의미이다.
- 진정으로 적극적인 사람은 이와 같은 플러스적 사고를 지닌 사람이다.


3. 곤경에 처했을 때 안달하지 않는 습관.

- 걱정, 불안, 초조, 두려움, 의심 따위의 지레걱정을 하게 되면 진짜 현실속에서도 그런 일이

  벌어지게  된다는 「자연의 법칙」이 있다.
-「병을 지레걱정하면 그 병을 불러 들이게 된다.」
  이것은 신체는 마음이 지배를 받는다는 진리와도 상통한다.
-「힘들 때 안달복달하면 더더욱 힘든 사태를 불러 들인다」
-「마음가짐」의 개혁, 스스로 안심하고 만족하는 습관과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처음부터 「안된다」고 포기하지 않는 습관
- 무슨 일이든 처음부터 「안된다」라고 결정지어 버리는 것은 대단한 마이너스임을 생각하라.


5. 뒷처리를 중시 여기는 습관
- 어떤 일이든 「계획」→ 「실행」→ 「검토(뒷정리)」의 흐름으로 진행되기 마련이다.
  특히 실행한 후의 「뒷정리」가 중요하다.
  사후의 검토를 확실하게 할 때 비로소 반성할 점을 파악할 수 있고, 개선해야 할 문제점도

  명확하게 드러나게 된다.
- 후회 따위는 해도 소용없다.  하지만 후회가 없는 곳에서의 성공은 바랄 수 없다.
- 후회와 실패를 긍정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뒷정리가 필수이다.
- 흘러가는 강물은 어떤 장해물을 만날지라도 전혀 성급하게 거품을 일으키며 거세지지 않는다.
  조용히 그 주변을 맴돌다가 자연스럽게 흘러가기 마련이다.


6. 작은 인연도 소중히 여기는 습관
- 「少人은 연분을 만나도 연분인지 모르고
     凡人은 연분인지 알지만 연분을 살리지 못하며
     大人은 소매를 스치는 작은 인연도 살리느니..」
- 인생의 행로에 있어서 자신의 스승으로 받들만한 사람은 도처에서 만날 수 있다.
  단지 그것을 스스로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에게는 스승이 없다고 속단하는 것 뿐이다.
- 인간의 가치란 그 사람의 「인격」
  「게는 자신의 껍질과 비슷하나 구멍을 판다」 인간의 경우도 자신의 판 구멍의 크기가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이며 「그릇」이 큰 사람은 예외없이 겸허하다.
- 공자는「어떤 사람에게든지 그 사람 나름대로 각자가 가지고 있는 天分이 있다」라고 하는
  개인적인 인간의 존엄성을 가르치고 있다.


7. 나날이 새로워지도록 노력하는 습관
- 늘 항상 어제와 동일한 매너리즘에 빠져 있으면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에게

 추월당하기 마련이다. 

 일이나 공부를 진행시켜 나가는데도 늘 새로운 피가 역동해야만 한다.
- 인간의 생명은 「일」그 자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이 없어졌을 때 살아갈 힘이, 원동력이 쇠약해지고 만다.


8. 매사에 전념하는 습관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식하는 것이 노련해지는 길의 디딤돌이 된다.
   모든 일은 부족한 시점에서 출발하여 점차 노련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처음 한동안은 서툴겠지만 그것에 계속하여 몰두하면 몰두할수록 점차 숙달되기 마련이다.」
- 일이든 놀이든 공부이든 거기에 몰두해야만 진정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자신이 그 분야에 최고가 되리라는 확신이 있다면 더욱 신나게 그 일에 전념하게 될 것이다.


9. 도중에 포기하지 않는 습관
- 이 세상의 모든 일은 끈기에 달려 있다.
  끈기가 강한자만이 최후의 승부를 얻는다.
- 어떤 일이든지「시작」하기란 쉬운 일이지만 그것을 단념하지 않고「계속」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 무슨 일이든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기분)을 끝까지 유지하라


10. 떠오른 착상을 메모해 두는 습관
-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머리에 떠오르는 IDEA는 어떠한 형태로든 보존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언제나 팬과 종이를 몸에 지니는 것이 비결이다.
- 자신의 아이디어 수첩을 자주 펼쳐 보라.  그리고 마음에 새겨두라.
  그러는 사이 그 아이디어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실현되어 감을 느낄 것이다.
  그것이 잠재의식의 작용이다.


11. 긴급하고 중요한 용건부터 처리해 나가는 습관
-「이 한 세상을 풍류로 보내고자 태어났는가, 즐기려 태어났는가
   노는 아이들 소리에 어느덧 동요되는 이내 마음」
- 현재 하고 있는 일을 다 끝마치고 났을 때의 후련한 기분을 상상해 보라.
  이 골치 아픈 일이 해결되는 대로 어떤 것이든 즐거운「보상」을 준비해 두라.
  훨씬 산뜻하게 일을 추진해 갈 수 있을 것이다.
- 일을 능률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잡무와 중요한 업무를 구별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중요한 업무를 처리할 때는 잡무로 인해 시간을 빼앗기지 않도록 최대한 집중적으로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