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응집제(Coagulants)의 종류
5.1 무기응집제
5.1.1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 Al2(SO4)3て18H2O)
황산알루미늄은 Alum 또는 황산반토로 불리우며 1885년 Rutger대학의 Austen과 Wilber교수가 응집특성에 관한 연구를 발표한 이후 우수한 응집특성과 저렴하고 무독성이며 거의 모든 수중의 탁질에 적합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오늘날까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응집제이다.
제조공정은 최근 알루미늄공업의 발달에 따라 값싼 수산화알루미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산화알루미늄을 주원료로 아래 반응식과 같이 황산과 반응시켜 제조함으로써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은 순도 높은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2Al2(OH)3 + 3H2SO4 → 2Al2(SO4)3 + 6H2O
황산알루미늄은 고상과 액상이 있으며 고상은 Al2O3(알루미나분)로서 14∼15%이고 액상은 Al2O3(알루미나분)로서 8%인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황산알루미늄의 결정석출점은 8.3%일 때 -14℃로 가장 낮으며 농도가 증가하면 결정석출온도가 급격히 높아져 상온에서도 결정이 석출되어 보관 및 주입설비를 폐쇄하여 사용할 수 없다. 황산알루미늄이 응집작용을 위하여 중탄산알카리도와의 응집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Al2(SO4)3て18H2O + 3Ca(HCO3)2 → CaSO4 + Al(OH)3 + 6CO2 + 18H2O
또한 황산알루미늄 1㎎/ℓ의 주입율에 따른 수중의 알카리도 소모율은 CaCO3를 기준으로 0.45㎎/ℓ이다.
알카리도 소모율 = 1㎎/ℓ× {(3×CaCO3)/Al2(SO4)3て18H2O} = 0.45㎎/ℓ
응집제로서의 특징은 아래 표와 같다.
장 점 |
단 점 |
적정 PH범위 |
1. 가격이 저렴 2. 거의 모든 현탁물에 유효 3. 무독성 4. 부식성이 적어 취급 용이 |
1. floc이 철염보다 가벼움 2. 응집 PH범위가 좁음 |
5.5∼8.5 |
5.1.2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 FeSO4て7H2O)
녹반이라고도 불리우며 제조방법은 철을 희황산에 용해시키거나 황산철을 자연산화시켜 만든다. Fe+2 이온은 엷은 녹색을 나타내며 용해도가 크기 때문에 거의 침전하지 않으며 PH 7.7이상에서 침전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침전물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석회가 동시에 첨가되어야 하고 응집제로서 반응은 아래와 같다.
FeSO4て7H2O + Ca(HCO3)2 → CaSO4 + Fe(HCO3)2 + 7H2O
Fe(HCO3)2 + 2Ca(OH)2 → Fe(OH)2 + CaCO3 + 2H2O
수산화 제1철은 수중에 녹아 있는 산소에 의해 수산화 제2철로 된다.
4Fe(OH)2 + O2 + 2H2O → 4Fe(OH)3
또한 황산제1철 1㎎/ℓ의 주입율에 따른 수중의 알카리도 소모율은 CaCO3를 기준으로 0.36㎎/ℓ이다.
장 점 |
단 점 |
적정 PH범위 |
1. floc이 무거워 침강속도가 빠름2. 값이 싸다. |
1. 부식성이 강하다. 2. 철이온이 잔류한다. |
9∼11 |
5.1.3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 FeCl3て6H2O)
염화제2철은 암갈색을 띠며 제조방법은 철과 염산을 반응시켜 염화제1철을 만든 후 염소가스로 산화시켜 염화제2철을 만들며 그 응집반응은 아래와 같다.
FeCl3 + 3H2O → Fe(OH)3 + 3H+ + 3Cl-
또한 염화제2철의 특성은 아래와 같다.
장 점 |
단 점 |
적정 PH범위 |
1. floc이 무거워 침강속도가 빠름 2. 색도제거에 유효하다. 3. 응집 PH범위가 넓다. 4. 황화수소의 제거나 에멀션의 파괴에 유효하다. |
1. 부식성이 매우 강하다. 2. 희박용액(PH 2이상)에서 수산화물을 생성한다. 3. 처리후 색도가 남는다. |
9∼11 |
5.1.4 폴리염화알루미늄(Poly Aluminium Chloride : [Al2(OH)nCl6-n]m )
황산알루미늄 이후 새로운 응집제로 PAC라고 불리는 폴리염화알루미늄이 만들어져 응집성능이 탁월하여 현재는 정수처리장에서 황산알루미늄을 대체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폴리염화알루미늄은순수한 폴리염화알루미늄용액에 가수분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중축합촉진제로 황산이온을 적당량 가하여 혼합 숙성시킨 함황산 폴리염화알루미늄으로 사용된다. 수도용 폴리염화알루미늄은 무색 내지 담황색의 투명한 액체로 Al2O3(알루미나분)로서 10∼11%인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AC는 황산알루미늄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① 저탁도 및 고탁도수나 후민질성 착색수에 대하여도 황산알루 미늄보다 효과가 있다. ② 적정주입율 폭이 매우 넓으므로 과량 주입에 의한 역효과가 적어 작업의 안전성이 좋아 진다. ③ 알카리도의 저하가 황산알루미늄에 비하여 약1/2로 적어 알카 리제의 투입량이 절감된다. ④ floc의 형성속도가 빠르고 floc의 크기가 커서 침강속도가 빠 르다. ⑤ 저온에서도 응집효과가 좋다. ⑥잔류 알루미늄 농도가 낮다.
▣ 염기도
PAC의 염기도는 조성, 구조, 이화학적 성질, 응집효과, 저장의 안정성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요한 성질이며 PAC중의 Al의 당량과 Al에 결합되어 있는 OH기 당량의 백분율을 말한다. 보통 수도용 폴리염화알루미늄의 염기도는 40∼60%일 때 가장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AC의 조성이 Al2(OH)3Cl3인 경우 염기도는 아래와 같이 산출한다.
(3×OH-)/(2×Al3+) × 100 = (3/6) × 100 = 50%
또한 염기도가 증가하면 안정성이 증가하며 중합도가 증가하고 교질성이 증가되며 응집성도 크게 된다. 보통 수도용 PAC의 분자량은 238.4이며 Al분율은 22.7%이다.
5.1.5 폴리황산알루미늄(Poly Aluminium Sulfate : [Al2(OH)n(SO4)3-n/2]m )
폴리황산알루미늄은 무색 내지 담황색 투명한 액체로 PAS로 불리며 일반식은 [Al2(OH)n(SO4)3-n/2]m 이고 n은 1≤n≥5이며 m은 m〈 10 이고 염기도는 n/6 × 100% 이다. 염기도, 중합도, PH, 알카리소비량, 다가음이온과의 반응성등은 PAC와 유사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PAS는 염기도 중합도가 높을수록 물리화학적 영향을 받기 쉬우며, 특히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므로 고염기성 용액을 만들기 어렵다. PAS의 응집특성은 염기도가 50%정도의 용액이 가장 좋으며 floc의 응집성능, 제탁효과, 알카리조제의 절감효과, 적정주입율의 범위, 응집PH범위 등이 PAC와 유사하다. 또한 PAS는 PAC보다 가수분해속도가 빠르고 희석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원액 또는 2배 희석액을 직접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5.1.6 폴리황산알루미늄규산(Poly Aluminium Sulfate Silicate : Ala(OH)b(SO4)c(SiOx)d )
이 응집제는 최근에 캐나다에서 개발된 응집제로 PASS라고도 불리운다. Si를 함유하고 있고 분자량이 100,000∼300,000에 이르며 침전성과 미세 탁질의 제거효과가 우수하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도 응집성능이 뛰어나다. 외관은 투명하며 Al2O3(알루미나분)의 농도는 8∼10%이고 염기도는 25∼50%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5.1.7 폴리염화알루미늄규산(Poly Aluminium Chloride Silicate : Ala(OH)b(Cl)c(Si)d )
기존 PAC 응집제를 고농도화 시킨 것으로 Al2O3의 농도를 17%로 고농도화 시키고 Silicate를 첨가하여 응집성능을 개선한 것으로 PACS라고도 불리운다. 외관은 투명하며 Al2O3(알루미나분)의 농도는 16∼18%이고 염기도는 45∼50%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5.1.8 폴리염화알루미늄칼슘(Poly Aluminium Chloride Calcium : Ala(OH)b(Cl)c(Ca)d )
1997년에 개발된 응집제로서 염기도가 70%인 것이 특징이며 고탁도, 저알카리도에 적합하며 홍수시 첨가된 칼슘으로 인하여 알카리도 저하가 적어 알카리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외관은 투명하며 Al2O3의 농도로 10%이며 PACC로 불리운다.
5.2 응집조제(Coagulant aids)
응집보조제는 응집제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켜 그 효과를 높이고 응집제를 절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품으로 주로 무기응집제와 병용하며 알카리 보충제와 응집보조작용제가 있다.
5.2.1 알카리 보충제
알카리보충제로는 소석회[Ca(OH)2], 탄산나트륨[Na2CO3], 수산화나트륨[NaOH]등이 있다. 소석회는 저장 및 취급이 나쁘며 중화에 의해 불용성염의 생성으로 슬러지 발생량이 많아 지는 딘점이 있으나 가격이 저렴하고 알카리 보충효과가 커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용해도가 적어 10∼20%의 유액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산화나트륨은 강산으로 취급시 위험이 따르고 값이 비싼 단점이 있으나, 반응성이 좋고 슬러지 생성량이 적으며 용해도가 커서 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입이 용이하고 주입장치를 자동화 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소석회보다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알루미늄계 응집제 주입율 1㎎/ℓ당 알카리도 감소율은 다음표와 같다.
종 류 |
알카리도 감소율(㎎/ℓ) |
고상황산알루미늄(15%) |
0.45 |
액상황산알루미늄(8%) |
0.24 |
폴리염화알루미늄(Al2O3염기도 50%) |
0.15 |
<표-2> 응집제 1㎎/ℓ주입에 따른 알카리도 감소율
알카리제 주입율을 결정할 때에는 원수의 알카리도, 상징수의 잔류 알카리도(약 30㎎/ℓ), 응집제 주입율등에 따라 다르며,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W = [(A2 + K × R) - A1] × F W : 알카리제 주입율(㎎/ℓ) A1 : 원수중의 알카리도(㎎/ℓ) A2 : 처리수의 잔류 알카리도(㎎/ℓ) K : 응집제별 알카리도 주입율(㎎/ℓ) R : 응집제 주입율(㎎/ℓ) F : 알카리도 1㎎/ℓ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알카리제 소요 량(㎎/ℓ) 알카리도 1㎎/ℓ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알카리제 소요량(㎎/ℓ)은 다음 표와 같다.
종 류 |
알카리제 소요량(㎎/ℓ) |
소석회(CaO 72%) |
0.77 |
소다회(Na2CO3 99%) |
1.06 |
고체가성소다(NaOH 45%) |
1.78 |
액체가성소다(NaOH 20%) |
4.00 |
<표-3> 알카리도 1㎎/ℓ상승에 필요한 알카리제 소요량
5.2.2 응집보조작용제
▣ 벤토나이트(Bentonite)
벤토나이트는 몬모릴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카리성 점토로 수중 콜로이드 입자의 흡착을 위한 핵을 제공함으로써 저탁도시 황산알루미늄과 함께 사용되어 현저한 응집보조작용을 한다.
▣ 활성규산(Activated silica)
활성규산은 콜로이드상의 중합규산이고 그 자체가 음콜로이드이므로 황산알루미늄과 함께 사용할 때 floc이 무겁고 단단하며 floc형성속도가 빠르고 응집 PH범위가 넓어 한냉시나 홍수시 효과가 큰 장점이 있으나 여과지 손실수두가 크고 규산의 활성화가 곤란한 문제점도 있다.
▣ Fly ash
화력발전소의 연돌가스에서 포집한 석탄재 분말로 주성분은 SiO2, Al2O3이며 벤토나이트 정도의 효력이 있다.
5.3 유기고분자응집제
5.3.1 유기고분자응집제의 역사
전분이나 아교와 같은 천연수용성 고분자물이 응집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효과가 적어 실용화되지 못하였으며, 알긴산나트륨이 최초로 1956년경 수도용 응집제로 실용화 되었고, 합성고분자응집제는 1954년 미국에서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가 광물질 미립자의 응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보고되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에 대한 특허가 공고되면서 본격적으로 유기고분자응집제가 사용되게 되었다.
5.3.2 유기고분자응집제의 분류
▣ 제조상의 분류
◎천연고분자 - 식물성 : 전분, 알긴산나트륨 등 - 동물성 : 아교 등
◎합성고분자 - 축합형 : 아민훌마린, 아민에피크로히드린, 폴리에틸렌이민 - 중합형 :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
▣ 이온성에 따른 분류
◎양이온성(Cation) - 약양이온성 : 양이온전하당량치가 1.5 meq/g이하인 응집제 - 중양이온성 : 양이온전하당량치가 1.5 ∼ 3.5 meq/g인 응집제 - 약양이온성 : 양이온전하당량치가 3.5 meq/g이상인 응집제
<그림-5> 폴리아크릴아미드계의 양이온성 응집제
◎음이온성(Anionic) - 약음이온성 : 아크릴아미드와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물, 폴리 아크릴아미드의 만니히 변성물 등 - 음이온성 :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
<그림-6> 폴리아크릴산계의 음이온성 응집제
◎비이온성(Nonionic) -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
<그림-7> 폴리아크릴아미드계의 비이온성 응집제
5.3.3 유기고분자응집제의 작용원리
▣ 응결작용 ★ 입자표면전하(Zeta 전하)의 감소 입자의 표면전하는 입자상호간의 반발로 접착을 방해하므로 고 분자응집제의 아민기 등 이온기에 의해 표면전하의 중화로 제 타전위를 저하시켜 전기이중층을 압축함으로써 응결을 일으키 게 한다.
★ 입자 수화층의 파괴 미세입자는 친수기에 의한 입자표면에 수화층을 생성하여 결합 저해인자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고분자응집제의 첨가로 이 들 수화층을 파괴하여 Zeta Potential을 저하시켜 응결을 일으 키게 한다.
★ 이온성 콜로이드의 상호정전결합 후민산과 같은 다가이온분자 콜로이드에 반대 전하의 고분자응 집제를 첨가하여 정전기적 이온결합에 의한 친수기의 봉쇄로 결합을 촉진시켜 제거한다.
▣ 응집작용 ★ 가교흡착작용에 의한 응집 고분자 응집제가 용해되어 생긴 실타래와 같은 고분자속(高分 子束)의 접착력에 의해 입자를 접착(가교작용)시킨다.
▣ 고분자응집제에 요구되는 특성 ★ 분산현탁입자에 대한 결합능력 고분자중의 극성기가 관여하여 그것이 수중에서 자유로운 상태 로 존재하고 결합의 활성점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이 필요하 다.
★가능한 고중합도의 선상고분자 가교흡착을 위하여 충분한 길이를 필요로 하고 고분자중에 결합 된 유효 활성점이 많아야 하고 큰 floc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자 량이 커야 한다.
★분자중에 강한 해리기 존재 콜로이드 입자의 응결을 위하여 분자중에 강한 해리기가 필요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