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 태 크 ◈/성공습관 :

30대에 꼭 알아야 할 돈 관리법 30가지 - 4

Positive51 2006. 10. 18. 20:03

15. 살고 있는 1가구 1주택, 집값이 올라봐야..


16. 저층 아파트에 투자하면 인생이 편안하다.
- 저층 아파트나 빌라단지는 우선 대지(땅)지분이 넓다.
  땅은 감가상각이 되지 않는다.  고층apt에 비해 대지지분의 비율이 무려 3~8배에 이른다.
  세월이 15~20년 정도 흐르면 재건축 차원에서 볼 때 가치의 차이가 커진다.
  마음 편하게 장기적으로 보고 저층apt에 투자하라.
  리버스모기지(내 집을 마련한 뒤 젊어서는 주택자금대출을 갚아 나가고 은퇴 후에는 역모기지를
  통해 자금을 얻어 쓰는 패턴을 통해 이사를 다니지 않고 자기 집에서 장기간 거주)의 개념을 이야기

  할 때 우리나라에서 리버스모기지를 활용하는 가장 알맞은 주택은 저층apt이다.
  왜냐하면 이사를 가지 않고 오래 살아도 가치가 상승하므로 금융기관 입장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인상맞춤이기 때문이다.
- 중요한 것은 땅 지분!!
  수도권의 토지는 '땅'이고 지방의 토지는 '흙'
  수도권의 유망지역이 아니라면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


17. 분양apt 중도금을 미리 내라
▶ 유리한 점
①중도금(+잔금)을 미리 내면 아파트값을 깍아준다.
②깍아준 금액은 세금이 없다.
③(깍아준 금액만큼)분양가격의 과세표준이 낮아지므로 또 한번 세금이 절약된다.
④집 구입시 드는 취득세, 등록세, 교육세 등 각종 비용(대략 집값의 5.8%)도 함께 낮아진다.
▶ 유의할 점
①믿을 수 있는 건설회사 인지..  건설중 부도가 나면 어떻게?
②비상예비자금을 확보해 놓아야 한다.


18. 집값을 계산해 보면..
- 금리는 보편적으로 주택가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 동서고금을 통틀어 부동산 가격상승은 남쪽(강남)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주요 인프라(돈과 사람 그리고 정부청사 및 기업본사 등 사회기반)를 따라 움직였다.
- 만약 물가상승이 전체적으로 가시화되어 금리가 인상되고 금리형 자산의 상대적인 매력도가 커지거나
  현재 저평가되어 있다는 주식시장이 활성화된다면 급격한 유동성 위험에 빠질 수 있다.
  하지만 주식시장과 금리형 자산의 매력도가 계속 떨어진다면 부동상 시장의 열기는 계속될 수 밖에

  없다.


19. 집규모 줄이기
  노후의 생활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살고 있는 집의 평수를 줄여가거나
  상대적으로 집값이 싼 곳으로 이사하는 방법.

 

TIP 리버스모기지 활용법
- 모기지(mortgage) : 장기할부로 집을 마련하는 것.  부동산담보대출.

                             대개의 경우 부채가 상환되는 시점이 노후와 일치된다.
- 역모기지(reverse mortgage) : 장기할부(모기지)로 집을 마련하고 은퇴하면 그 집을 담보(역모기지)로
                                     노후자금을 빌려 쓰다가 사망할 때면 자식들에게 장례금만 남긴다.
                                     즉, 리버스모기지(역담보연금대출)이란 내 집을 마련한 뒤 젊어서는
                                     주택자금의 대출을 갚아나가고 은퇴 후에는 역모기지를 통해 자금을
                                     얻어 쓰는 패턴을 통해 이사를 다니지 않고 자기 집에서 장기간 거주할 수
                                     있다.  이사에 따른 여러 비용이 들지 않으나 한곳에 오래 살아야 한다.

 

20. 펜션투자
  Pension : 명승지 또는 자연환경 속에 멋진 집을 지어 놓고 가족단위의 여행객을 받는 고급 숙박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