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활성슬러지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미생물의 특징
5) 유입수 농도가 대단히 낮을 때 나타나는 생물
floc 상태는 해체시의 floc 상태와 유사하다. 즉 floc과 floc간에 pin floc이 많으며 이런 경우 유입수의 농도가 대단히 낮은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활성슬러지가 해체되기도 한다.
① Lecane 계란모양의 작은 유영목이며 후면에 2개의 꼬리가 있다. 충체의 크기는 150~250μ이며 유영목의 출현환경은 유입수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설계치 보다 작을 때 Diffuser의 용존산소 효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② Colurella 꼬리는 1개로 되어 있으며 대개 소형으로 출현환경은 Lecane과 같다.
|
 |
|
 |
|
|
Lecane |
|
Colurella |
|
③ Monostyla 알모양 또는 원형으로 1개의 긴다리를 갖으며 출현환경은 유입수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설계치보다 작을 때 Diffuser의 용존산소 효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
 |
|
 |
|
|
Monostyla(1) |
|
Monostyla(2) |
|
④ Euglypha 껍질은 규칙있게 규산질의 조각 혹은 작은판으로 되어 있다. 운동할 때와 섭취할 때는 실모양의 다리를 내어놓는다. 충체의 크기는 30∼200μ이며, 출현환경은 Difflugia와 유사하여 유입수 농도가 극히 낮고 폭기조에 용존산소가 충분하여 질산화가 일어나 pH가 산성에 있는 경우 출현한다.
|
 |
|
 |
|
|
Euglypha(1) |
|
Euglypha(2) |
|
⑤ Lepadella 앞모양의 원형이 많으며 긴 꼬리에 2개의 다리가 있다. 부유하는 것보다 포복성이 많으며 출현환경은 Lecane과 동일하게 유입수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설계치 보다 작을 때 Diffuser의 용존산소 효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
 |
|

|
|
|
Lepadella(1) |
|
Lepadella(2) |
|
⑥ Euplotes 충체는 편평한 원형 또는 타원형 전단부터 ⅓정도까지 3각형의 넓은 개구부가 있다. 몸의 앞과 후부에 다른 종류의 미생물보다 많은 각모가 있다. Euplotes의 출현환경은 Lecane과 같이 유입수의 농도가 낮은 경우와 유입수량이 설계치보다 적을 때 Diffuser의 산소용해율이 양호하고 유기물의 산화가 대단히 빠른 경우 관찰된다.
|

|
|

|
|
|
Euplotes(1) |
|
Euplotes(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