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 질 환 경 ◈/미생물 :

활성슬러지가 회복할 때 나타나는 미생물

Positive51 2006. 12. 23. 23:35

활성 오니 상태에 따른 미생물의 종류와 특징(4)

3. 활성슬러지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미생물의 특징

3) 활성슬러지가 회복할 때 나타나는 미생물

  활성슬러지의 회복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부하가 높고 나쁜 상태로부터 양호하게 되는 경우와 일단 해체한 오니가 다시 좋아지게 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중간상태로부터의 이러한 움직임은 중간활성슬럿지기의 생물 자신뿐만 아니라 그것에 따라 출현하는 다른 생물종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물 종을 보고 판단을 내리는 것이 현명하다.

3-1) 부하가 높은 상태에서 좋아질 때의 생물상
 
크고 확실한 floc과 또 작은 floc이 같이 나타나며 Zooglea가 관찰된다.

① Litonotus
  몸체는 flask 모양으로 가늘고 긴 머리를 갖는다.   머리부분의 오른쪽에만 섬모가 있다.   수축포는 뒤에 1개 있거나 또는 다수의 것이 1∼2열로 되어 있다.   세포의 크기는 100μ이며, Litonotus는 부하가 높을때부터 양호하게 될 때 해체로부터 양호하게 될 때까지 똑같이 관찰된다. 부하가 높을때부터 양호하게 될 때 나타나는 경우는 소수의 Uronema, Cyclidium, 소형 아메바, Colpidium 등도 함께 관찰된다.

Litonotus(1)

Litonotus(2)

② Chilodonella 
   충체는 알 모양이고 앞쪽 윗부분에 돌기된 부분을 갖는다. 또 충체의 가운데는 두껍고 양끝은 얇다. 충체의 중앙에 인두가 있다.  수축포는 다수 있으며 세포의 크기는 50∼300μ이며,Chilodonella의 출현현상은 처리수에 유기물이 잔류되어 있을 때부터 양호할때까지 나타난다. Chilodonella가 나타날 때 소형 Amoeba, Uronera, Cyclidium, Paramesium, Bodo, Oikomonas 등은 관찰되지 않는다.

Chilodonella(1)

Chilodonella(2)

3-2) 해체로부터 다시 양호하게 될 때의 생물상
  
일반적으로 오니는 해체시 압밀성이 없으나 일부의 오니는 응집성이 좋을 때에는 약간의 사상균이 보일 경우도 있다. 그러나 처리수에는 pin floc이 관찰된다. 

[ 생물상 ]
   이 경우 미생물상은 중간기 생물, 해체시의 미생물, 양호기의 미생물 등 각 현상의 생물이 관찰된다. 즉 호기기의 생물로서는 Epistilus, Vorticella, Carchsium, Aspidisca, Entosiphon 이 나타나며,  중간개 미생물로서 Litonotus, Chilodonella가 나타난다.  또 해체시의 생물로서는 대형 Amoeba, Valkanfia limax, Peranema Philodina Lecane이 관찰된다. 
  기타 Eupotes, Monas, Preuromonas가 관찰될 때도 있다. 그러나 Uronema, Cyclidium, Colpidium, Colpoda, Paramecium Bodo, Oikomonas 등은 관찰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