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생 물 의 세 계 (설명및사진은 해당위치에서 마우스클릭 하세요) |
세 균 류 (Bacteria) 세균은 폐수의 생물처리과정에 있어서 먹이 연쇄의 하위수준을 점하는 생물인데 폐수중의 유기물 전부가 이 세균에 의해 섭취된다. 생물처리에 있어서 출현빈도가 높은 세균으로서는 Achromobacter속, Alcaligenes속, Flavobacterium속, Pseudomonas속,Chromobacterium속,Chromobacterium속, Sarcina속, Streptococcus속, Escherichia속, Escherichia속, Paracolobacterium속, Nitrosomonas속, Nitrobacter속 등이 있다. 이러한 것 중 많은 세균이 그람 음성균이다. 이러한 세균은 분리배양하여 생리학적시험을 행해야만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폐수의 생물처리에 있어서 홀록형성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 Zoogloea속 및 장해생물이 되는 세균인 Beggiatoa alba, Sphaerotilus natans, Thiothrix tenuissima, Nocardia amarae 등은 현미경적으로 관찰하므로써 식별할 수가 있다. |
조 류 (Algae) 활성오니법이나 생물막법 같은 통상의 생물처리시설에 있어서는 조류가 출현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그러나 산화지와 같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설에 있어서는 다수의 조류가 출현하여 정화에 공헌하고 있다. 또한 최근 부영양화가 진행된 하천 및 호소를 수도용 원수로서 사용하는 경우 냄새물질의 제거 및 조류제거를 목적으로 한 생물막법에 의한 처리의 채용이 시도되어 왔는데 이러한 시설에 있어서도 다수의 조류가 출현한다. 황색 및 와편조류 이외의 조류 분류보기 1. 남조류(Cyanophyceae, Blue-green algae) Microcystis속 Phormidium속 Coelosphaerium속 Oscillatoria속 Anabaena속 2. 녹조류(Chlorophyceae, Green algae) Chlamydomonas 속 Dictyosphaerium속 Scenedesmus속 Closterium속 3. 규조류(Bacillariophyceae, Diatoms) Mellosira속 Cyclotella속 Fragilaria속 Cymbella속 [Synedra속 (1)Synedra rumpens (2) Synedra acus (3)Synedra ulna] |
균 류 (Fungi) 균류는 조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불완전균류의 4가지로 대별되는데 폐수의 생물처리에 있어서는 출현하는 균류는 유성생식기관이 발견되지 않은 불완전균류가 많다. 이러한 균류는 형태상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균사는 격벽이 없다. . . . . . 조균류(Phycomycetes) ② 유성포자는 자낭내에 내생한다. . . . . . 자낭균류(Ascomycetes) ③ 유성포자는 담자기에 외생한다. . . . . . 담자균류(Basidomycetes) ④ 유성포자는 확인되지 않았고 무성포자에 의해 증식한다. . . . . . 불완전균류(Deute-romycetes Fumgi Imperfecti) 폐수의 생물처리에서는 Mucor속, Saprolegnia속, Leptomilus lacteus, Fusarium aquaeduc-tunm, Trichoderma, Zoophagus insidans(유충류를 포식), Geotricum candidum 이외에 Sepedonium속, Asclidea rubescens, Trichosporon cutaneum, phona속, pythium gracile, Arthrobothrys속(선충류를 포식) 등이 출현한다. 이러한 균류는 특히 생물막법에서 우점화하는 경우가 많다. 균류가 이상적으로 증식하면 활성오니에서는 bulking, 생물막에서는 폐색을 일으키므로 처리기능이 저하한다.
|
원 생 동 물 (Protozoa) 폐수의 생물처리에 있어서 원생동물은 floc의 형성, 발생오니의 감량화에 크게 공헌하는데, 크게 섬모충강, 편모충강, 포자충강의 4개의 강으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폐수처리에 출현하는 원생동물은 포자충강을 제외한 3개의 강이다. 이들 원생동물은 이하에 설명한 것처럼 폐수의 생물처리에 정화 등의 양부를 판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1 섬모충류(강)(Ciliata) 섬모충류는 크게 전모아강(Holotrica)과 섬모아강(Spirotricha)의 2군으로 나뉜다. 원생동물 중에서 가장 분화가 진행되었고 편무충류에서 분화한 것으로 보여진다. 체표는 섬모로 덮여있고 섬모에 의해 운동하고 먹이를 취한다. 무성생식은 횡분열이 많지만 출아하는 것도 있다. 폐수의 생물처리에서 주로 출현하는 섬모충류는 전모아강에 속하는 나구목, 모구목, 흡관층목, 막구목, 연모목, 선모아강에 속하는 이모목, 소모목, 유종목, 하모목이다. 나구목(Gymnostomatida) Coleps 속 Trachelophyllum속 Amphileptus속 Litonotus속 Chilodonella속 모구목(Trichostomatida) 흡수충목(Suctorida) 막구목(Hymenostomatida) Uronema속 Colpidium속 Cinetochilum속 Glaucoma속 Tetrahymena속 Cyclidium속 연모목 (Peritichida) Vorticella속 Carchesium속 Zoothamnium속 Epistylis속 Opercularia속 Vaginicola속 이모목(Heterotrichida) 하모목(Hypotrichida) Aspidisca속 Oxytricha속 Stylonychia속 Euplotes속 2. 편모충류(강) (Mastigophora) 원생동물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집단이며 기타의 강도 이 종류에서 분화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1개 혹은 그 이상의 편보를 가지고 있으며 무성생식에 있어서는 종분열로 증식한다. 활성오니와 생물막에는 동물성 편모충류가 비교적 많이 츨현하지만 산화지에는 각종의 식물성 편모충류가 우점적으로 출현한다. 생물처리에 출현하는 대표적인 편모충류는 Oicomonas termo, Notosolenus orbicularis, Cercobodo crassicauda, Pleuromonas jaculans, Bodo caudatus, Chlamydomonas angulosa, Pleuromonas trichophorum, Trepomonas agilis, Euglema viridis 등이다. 동물성편모충아강(Zoomastigophora), 원평모충목(Protomastigida) Oicomonas (Oikomonas)속 Monas속 Bodo속 Pleuromonas속 식물성 편모충아강(Phytomastigophora), Euglenida목 3. 육질충류(강)(Sarcodina) 육질충류는 근족충류라고 불리고도 하는데 형태적으로는 겉껍질을 소유하는 것과 그것이 없는 것의 2종류로 크게 구분된다. 껍질을 가지지 않은 종류에서는원형질의 유동에 따라서 만들어진 가족을 이용해서 운동한다. 편모충류와 근연생물이며 양방의 중간 성질을 가진 것이 알려져 있다. 편모를 일생동안 가지는 것과 한 시기에만 갖는 것이 존재한다. 유각(有殼)의 종류는 방산충목, 유각아메바목, 태양충목이다. 폐수의 생물처리에 출현하는 육질충류의 대부분은 아메바목과 유각 아메바목에 속한다. 아메바목으로는 Amoebaradiosa, A.proteus, Vahlkampfia limax, Achanthamoeba속 등과 유각 아메바목으로는 Arcella vulgaris, Difflugia속, Euglypha속, Trinema속 등이 있다. 태양충목(Heliolarida) 아메바목(Amoebida) 유각아메바족(Testacida) Arcella속 Difflugia속 Centropyxis속 Euglypha속
|
후 생 동 물 폐수의 생물처리에서 출현하는 후생동물은 ①편형동물문(Plathelmintles), ②대형동물문(Aschelmintles), ③연체동물문(Mollusca), ④환형동물문(Annelida), ⑤완보동물문(Tardigrada) , ⑥절족동물문(Arthropoda)에 속하는 것들이다. 또한 대형동물문에 윤충류(강) (Gastrotricha), 선충류(강) (Nematoda)가 포함된다. 이들 생물중에서 폐수처리과정에서 출현하는 종류는 대부분의 경우 몸길이가 10㎜이하인 것이 많다. 1. 편형동물(Plathelmintles) 편형동물은 와충강(Turbellaria), 흡충강(Trumatoda), 조충강(Cestoidea)의 3강으로 나누어 진다. 일반적으로 몸은 유연하고 전체 또는 일부에 섬모를 가지며 무체절이고 원신관계로 배출하며 좌우상침형 동물중에서 가장 하등이다. 일반적으로 체장은 5㎜이하이고 입은 항상 복측에 위치하며 몸의 전단, 중앙 또는 약간 후반에 있다. 폐수의 생물처리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지만 드물게 출현하는 편형동물은 와충강, 삼기장목(Tricladida), 담수생 삼기장아목(Paludicola), 플라나리아과(Planariidae)에 속하는 것이 많다. 이들의 특징은 주름 모양의 인두를 갖고 장주관은 삼방으로 나뉘어진다. 몸은 가색, 흑생 또는 백색을 나타내고 자웅동체이다. 두부는 삼각형 모양으로 깔때기형이고 눈은 일반적으로 2안 혹은 두부주연에 따라 말발굽모양으로 다수의 소안을 배열하는 것 등이 특징이다. 2. 대형동물 (袋形動物, Aschelminthes) 폐수의 생물처리에 출현하는 윤충류, 복모류, 선충류는 대형도물문에 속한다. 분류방법에 따라서는 윤형동물문, 복모동물문, 선형동물문으로 나누기도 하고 윤충강, 복모강만이 대형동물문으로 나누는 수도 있는데 여기서는 3강을 합쳐 대형동물문으로 한다. 윤충류(강) (Rotatoria) 윤충류는 담수를 기원으로 갖는 수가 적은 생물이다. 해수 및 기수중에 생식하는 것은 전체의 5% 이하이다. Bdelloidea 목 유영목(Ploima) Lepadella속 Colurella속 Lecane속 Monostyla속 복모류(강) (Gastrotricha) 복모류는 대충목(Macrodasyoidea)과 모류목(Chaetonotoidea)의 2목으로 분류되는데 폐수처리에 출현하는 것은 모류목인 Chaetonotidae과에 속하는 것이다. 본과는 Chaetonotus속, Ichthydium속, Lepidaderma속, Heterolepidoderma속, Aspidiophorus속의 5속으로나뉘어 지는데 그중에서도 생물처리에서는 체장 100∼300㎛ 정도인 Chaetonotus속이 출현한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좌우상칭으로 체표는 솜털로 덮여있고 자웅동체(분명치는 않다)로 몸은 방추상이며 점질관이 미부에만 있고 1쌍의 원시배설기를 갖고 있다. 선충류(강) (Nematoda) 3. 연체동물 (Mollusca) 담수산 연체동물은 권패류(복족강)와 2매패류(부족강)인데 폐수처리에 관계하는 것은 권패류이다. 4. 환형동물(Annelida) 환형동물은 크고, 다모강(Poychaeta)과 빈모강(Oligochaeta)의 2개로 대별된다. 생물처리에서는 후자만이 출현한다. 원시 생식문목(Plesiopora) 원시빈모목(Archiologochaeta) 5. 완보동물(Tardigrada) 완보동물은 곰벌레하고도 불리우며 기본적으로 두부 1환절과 동체 4체절로 되어 있고 말단에 구조가 있는 4쌍의 짧은 다리를 갖는다. 주행이 느리기 때문에 완보동물이라고 하는 명칭을 갖고 있다. 몸길이는 1㎜ 이하이고 본래 토양중에 생식하는 생물이다. vP수의 생물처리에 출현하는 완보동물은 대부분의 경우 곰벌레과에 속하는 Macrobiotus속이 종종 출현한다. 완보동물은 섭식할 때 입에서 치침 (齒針)을 내며 그것을 먹이에 찔러넣고 인두의 운동에 의해 내용물을 흡인한다. 이들 완보동물이 출현하는 경우에는 처리수질이 양호한 때가 많다. 또한 산란의 수는 대체로 10개 정도이고 체내에서 부화 하는데 배의 발생은 보통 30∼40일 걸리며 생긴 몸체가 4배 정도로 되면 산란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수명은 1년반 정도이며 그 사이에 수십회의 탈피를 한다. 6. 절족동물(Arthropoda) 수생 또는 육생의 무척추동물로서 부등체절로 된 몸과 원칙적으로 각 체절에 1쌍의 유절 부속각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갑각류(강) (Crustacea) (1) 새각아강(Branchiopoda) 지각목(Cladocera) (2) 패형아강(Ostracod) (3) 요각아강(Copepoda) Cyclopoida아목, Cyclopidae과 (4) 연갑아강(Malacostroca) 등각목(Isopoda), Asellidae과 곤충류(강) (Insecta) 여상파리과 (Psychadidae) 각다구과(Chironomidae) 주형류(강)(Arachnida) |
'◈ 수 질 환 경 ◈ > 미생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성슬러지 미생물의 종류 및 형태 (0) | 2006.12.23 |
---|---|
활성슬러지 상태가 좋을 때 나타나는 생물 (0) | 2006.12.23 |
활성슬러지 상태가 나쁠 때 나타나는 생물 (0) | 2006.12.23 |
활성슬러지가 회복할 때 나타나는 미생물 (0) | 2006.12.23 |
해체시 또는 해체의 기미가 보일 때 나타나는 미생물 (0) | 2006.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