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본인의 '네이버 블로그'에 담은것이 원본입니다.
'다음 블로그'에는 조금 보기 편하게 편집하여 다시 올려보았습니다.
원본링크
5월 03일 석가탄신일
음성군 금왕읍(무극)에 있는 이진봉에 오른 후 산행하기에 좋지 않아 내려온 후 계획했던 권근3대묘소를
찾아갔다.
동복(同福) 오(吳)씨인 나와 조선초 개국공신 안동(安東) 권(權)씨인 권근 선생님과 무슨 관계가 있어
혼자 찾아왔는가?
공개적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나 지극히 개인적이고 절대적이고 운명적인 작용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또 내가 오랜 세월 간직해온 어떤 간절한 소원이 작용한 결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아무런 연고도 없는 음성에서 10년 넘게 살고 있는것도 미스테리인데
이곳에 권근 3대 묘소가 있는것도 우연인것만은 아닌거 같다.
아니 운명적이든 뭐든 아무것도 없다 하더라도
내 자신이 어렸을 때 부터 간절하게 지향하는 것이 있어 스스로 이곳을 찾았다.
화창한 날씨에 양촌 권근 3대 묘소 앞 주차장에 서게 됐다.
먼저 앞에 여러 사당들이 눈에 띈다.
권근 3대 묘소를 찾아올줄만 알았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아무것도 모른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7번지로 네비를 찍어 달리다보니
(네비가 노후하여 다소 헤맸다..)
양촌 3대묘소로 가는 길에 첫번째 안내표지석을 발견하게 됐다.
먼저 오른 금왕에 이진봉에서 가까운거 같아도 길은 조금 돌아가야 한다.
양촌선생묘석
양촌 권근 삼대묘 (三代墓)
입구안으로 들어서면 오랜 세월로 색이 바랜 안내도가 있다.
규모가 매우 크므로 안내도에 나타난 위치를 보고 가는게 좋다.
우선 주변을 살펴보자..
주차장에 차를 세우면 가장 먼저 가까이 보이는 건물.
추원재(追遠齋)라 불리우는 이 곳 묘역의 재실(齋室)
(관리실, 사무실, 기념관 등이 있는 곳)
1985년도에 지어진 건물입니다.
좌측 추원재에서 오른쪽 앞에는 사당 3채가 있다.
세채의 사당중 왼쪽부터 양촌 권근(權近 : 1352 ~ 1409)의 사당인 문충공사당이고
그 옆 가운데 사당은 안양공 권반(安襄公 權攀 : 1405 ~ 1459)의 사당이며
가장 오른쪽 사당은 안숙공 권준(安肅公 權蹲 : 미상 ~ 1459)의 사당입니다.
사당이 있는 곳 오른편으로 언덕위에는 3개의 묘가 있다.
처음에는 이곳에 권근 3대 묘소인줄 알았다.
하지만 그 아래 증손자들의 묘소이며,
권근 3대 묘소는 저 언덕을 넘어서면 정말 왕릉인가 싶을 정도의 큰 규모로 조성되어 있다.
이 묘소 가장 위에는 길창군 권걸 (吉昌君 權傑 : 1393 ~ 1421)의 묘가 있다.
권걸은 양촌 권근의 증손자이며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제(權踶)의 손자이고,
길창부원군 권람(權擥)의 아들입니다.
그 아래 권헌(權憲)의 묘이고 오른쪽으로 권유(權愈)의 묘입니다.
권헌(미상 ~ 1504)의 묘
조선중기 문신으로 할아버지는 길창부원군 람(覽)이고, 아버지는 경주부윤 걸(傑)입니다.
즉, 양촌 권근 선생의 고손자입니다.
권유(權愈 : 1745 ~ 1804)의 묘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권근의 한참 후손일듯 싶습니다.
안동권씨문충공종중
우선 추원재부터 자세히 살펴본다.
사당에서 내려다 본 추원재(追遠齋)라 불리우는 이곳 묘역의 재실(齋室)
추원재. 1985년도에 지은 건물.
추원재의 내부
정문이 닫혀있지만, 건물옆으로 돌아서 들어갈 수 있다.
건물측면으로 따라가면 오른편에 통로가 열려 있습니다.
문 없이 이렇게 안으로 들어 갈 수 있습니다.
양촌기념관이라는 오래된 현판이 있다.
'◈ 수 질 환 경 ◈ > ♧ 인생은여행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적지] 권근 3대 묘소 - 3 (0) | 2017.05.16 |
---|---|
[유적지] 권근 3대 묘소 - 2 (0) | 2017.05.16 |
[산행] 음성군 금왕읍 이진봉 (0) | 2017.05.05 |
[성당] 음성군 꽃동네성당 (0) | 2017.04.28 |
[산행]음성군 소속리산 - 2 (0) | 2017.04.28 |